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넷플릭스 더 에이트 쇼: 인간 본성과 도덕의 경계를 시험하다

by caro-kann 2024. 11. 22.

더 에이트 쇼

전체 줄거리


넷플릭스의 *더 에이트 쇼(The 8 Show)*는 단순히 자극적인 서바이벌 게임이 아니라, 인간 본성과 도덕적 딜레마를 탐구하는 깊이 있는 작품이다. 배진수 작가의 웹툰 머니게임파이게임을 원작으로 한 이 8부작 드라마는 “시간이 곧 돈”이라는 강렬한 설정을 통해 현대 자본주의 사회를 은유적으로 보여준다. 그러나 단순히 설정만이 돋보이는 작품은 아니다. 더 에이트 쇼는 연출과 서사적 접근 방식으로 시청자들을 독특한 방식으로 이야기 속으로 끌어들인다.

 

단순하지만 의도된 거리감

 

더 에이트 쇼는 처음부터 끝까지 시청자와 캐릭터 사이에 묘한 거리감을 유지한다. 드라마는 각 층에 거주하는 인물들의 과거를 단편적으로 보여주지만, 감정적인 공감을 유도하기보다는 단순한 “정보”로 전달한다.

 

특히 주인공이 거주하는 3층의 첫 장면은 그의 과거를 비추며 이야기를 열지만, 영상의 톤과 연출은 극히 절제되어 있다. 3층의 과거는 전형적인 드라마틱한 클로즈업이나 감정선이 강조된 연출이 아닌, 다소 차갑고 객관적인 시선으로 그려진다. 이는 마치 시청자가 특정 캐릭터에 깊게 몰입하지 못하도록 의도한 듯 보인다. 이후 에피소드에서도 다른 캐릭터들의 과거가 짧게 드러나지만, 역시 같은 방식으로 연출되어 이들이 겪은 사연을 깊이 공감하기보다는 단편적인 조각으로만 기억하게 한다.

 

이러한 연출은 전형적인 감정적 서사에서 벗어나려는 감독의 의도를 엿볼 수 있는 부분이다. 감정적 몰입을 배제한 연출은 각 캐릭터의 이야기를 개별적인 인간적 고뇌로 보는 대신, 그들이 속한 구조적 맥락에 더 초점을 맞추도록 유도한다. 시청자는 캐릭터를 응원하거나 연민하기보다, 게임 자체의 규칙과 그 속에서 벌어지는 갈등을 더욱 객관적으로 바라보게 된다.

 

소격 효과를 활용한 연출

 

드라마 전반에서 느껴지는 거리감은 연출 방식의 특징으로도 나타난다. 더 에이트 쇼는 전통적인 서사 구조에서 주인공의 관점이나 감정선을 따라가는 대신, 관객이 게임이라는 체제의 본질에 더 집중하도록 유도한다.

캐릭터들의 과거는 짧고 단편적인 방식으로 전달되어, 그들이 왜 게임에 참가했는지 이해는 가능하지만 깊이 공감하기에는 부족하다.

이러한 접근은 “소격 효과”를 떠올리게 한다. 시청자들이 특정 인물에게 감정적으로 빠져드는 대신, 그들의 상황을 분석하고 비판적으로 생각할 여지를 남긴다.

 

이 방식은 독특한 긴장감을 만들어낸다. 시청자는 캐릭터들 간의 갈등을 지켜보면서도 감정적으로 과몰입하지 않기 때문에, 오히려 게임의 구조적 문제와 계층 간의 불평등이라는 큰 그림에 더 몰두하게 된다. 이는 흔히 서바이벌 장르에서 볼 수 있는 감정적 클라이맥스나 드라마틱한 동정심 유발과는 차별화된 접근이다.

 

의도된 거리감의 효과

 

이러한 연출이 주는 효과는 분명하다. 시청자는 자신이 특정 캐릭터의 편에 서는 대신, 이 게임의 본질과 참가자들이 놓인 체제적 상황에 더 비판적인 시각을 가지게 된다.

예를 들어, 3층에서 벌어지는 사건들은 진수가 겪는 고난을 드라마틱하게 보여주기보다는, 게임 내 규칙이 얼마나 잔혹한지를 드러내는 데 초점을 맞춘다. 그의 과거가 불행하고 절박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연출은 이를 감정적으로 과도하게 활용하지 않는다. 이는 그의 선택이 개인적 감정이 아닌, 게임이라는 구조적 압박 속에서 나온 것임을 강조하기 위함이다.

 

새로운 서사의 시도

 

이러한 연출 방식은 서바이벌 드라마가 가지는 전형적인 감정 유발에서 벗어나, 장르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는 시도로 보인다. 더 에이트 쇼는 시청자가 캐릭터에 몰입하도록 유도하지 않음으로써, 이야기를 통해 단순히 즐거움을 주는 것 이상을 목표로 한다. 이는 결국 현대 사회의 구조적 모순, 계층 간의 갈등, 그리고 인간의 본성에 대한 냉정한 관찰로 이어진다.

 

총평

 

더 에이트 쇼는 독특한 연출과 이야기 접근 방식으로 시청자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한다. 캐릭터와의 거리감을 유지하면서도, 그들이 처한 상황의 구조적 문제에 초점을 맞추는 방식은 흔치 않은 시도다. 이러한 소격 효과는 작품을 단순한 서바이벌 게임 이상의 메시지로 끌어올리며, 현대 사회에 대한 날카로운 통찰을 제공한다.

 

별점: ★★★★☆ (4.7/5)

한 줄 요약: “감정에 빠지지 말고, 본질을 보라: 자본주의 사회의 중심을 꿰뚫는 새로운 시선.”

 

- 사진 출처 (Netflix Korea)